본문 바로가기
건강 영양 학술 리뷰

37개 임상연구로 입증된 골관절염 영양제 순위

by BeStOnE:) 2025. 8. 26.
반응형

골관절염 영양제 순위

 

37개 임상연구로 입증된 골관절염 영양제 순위

 

나이가 들면서 무릎이 아프고 뻣뻣해지는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는 대부분 골관절염 때문인데, 특히 무릎 골관절염은 전 세계적으로 장애의 네 번째 주요 원인이 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소염진통제는 효과적이지만, 장기간 복용 시 위장장애, 심혈관계 부작용, 신장과 간 독성 등의 문제가 있어 많은 환자들이 대안을 찾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무릎 골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7가지 주요 영양보충제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했습니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메타분석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37개의 임상시험을 종합적으로 검토했으며, 각 보충제의 통증 완화와 기능 개선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주요 영양보충제들의 효과 순위

 

1. 보스웰리아 (Boswellia)

보스웰리아는 보스웰리아 나무의 수지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이번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인 보충제입니다. 보스웰리아는 5-리폭시게나제(5-LOX)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를 억제하여 염증성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차단하고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통증 완화와 관절 기능 개선에서 다른 보충제들보다 뛰어난 결과를 보였습니다.

 

2. 강황(커큐민)

커큐민은 강황에서 추출한 활성 성분으로 강력한 항염 효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COX-2, JNK, PI3K, AP-1 등의 염증성 인자들을 감소시키고, IL-6, IL-1β, TNF-α 등의 염증 매개체 분비를 줄여 관절 염증을 완화합니다. 다만 커큐민은 체내 흡수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흡수율을 높인 제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3. 생강

생강은 전통적으로 염증 치료에 사용되어 온 천연 성분입니다. 생강은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외에도 진통, 해열,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연골세포에서 산화질소(NO)와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같은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생강의 매운맛 때문에 섭취가 어려울 수 있지만, 찜이나 발효 등의 가공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크릴오일

크릴오일은 남극 크릴새우에서 추출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보충제입니다. EPA와 DHA가 풍부한 크릴오일은 NF-κB와 같은 염증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활막과 연골에서 IL-1β, TNF-α, CRP 등의 염증성 인자 수치를 감소시키고, 지질 대사를 조절하며 연골세포를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합니다. 위장관 내성이 좋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5. 콜라겐

콜라겐은 연골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관절 건강에 직접적인 도움을 줍니다. 변성되지 않은 제2형 콜라겐은 주로 닭 흉골 연골에서 추출되며, 조절 T세포(Tregs)를 유도하고 모집하여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하고, 이러한 사이토카인들이 연골세포의 세포 외 기질 합성을 자극하여 연골 복구와 유지에 기여합니다.

 

6. 계란막

계란막은 계란 껍질 안쪽의 얇은 막으로, 콜라겐, 엘라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등이 풍부합니다. 연골 재생과 관절 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천연 성분입니다.

 

7. 비타민 D

비타민 D는 뼈 건강과 면역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관절염 환자들에게서 비타민 D 결핍이 흔하게 발견되며, 적절한 보충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안전성 고려사항

이러한 영양보충제들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특히 간은 주요 해독 기관으로서 많은 약초 성분의 대사를 담당하므로, 이러한 물질들이 간 기능에 영향을 주거나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하여 간 손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스웰리아가 무릎 골관절염의 통증 완화와 기능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큐민과 생강도 상당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골관절염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운동, 체중 조절, 균형 잡힌 식단과 함께 의료진의 지도하에 종합적인 접근을 하는 것입니다. 영양보충제를 고려하고 있다면, 개인의 건강 상태와 복용 중인 약물을 고려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Wu, M.; Guo, J.; Zhang, Y.; Li, X.; Chen, J.; Yu, H.; Ding, Y.; Wu, L.; Li, Y.; Wang, W.; Zhang, R.; Zhou, Y.; Zhao, D.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Nutritional Supplements in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A Network Meta-Analysis.” Nutrients 2025, 17(15), 254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