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영양 학술 리뷰

치주염과 편두통의 숨겨진 연관성 - 한국 성인 대상 연구 결과

by BeStOnE:) 2025. 8. 30.
반응형

치주염과 편두통의 숨겨진 연관성 - 한국 성인 대상 연구 결과

 

치주염과 편두통의 숨겨진 연관성 - 한국 성인 대상 연구 결과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두 가지 흔한 건강 문제인 잇몸병(만성 치주염)과 편두통이 서로 연관성이 있다는 놀라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단순히 입 속의 문제로만 여겨졌던 잇몸병이 뇌에서 발생하는 편두통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최근 Healthcare 저널에 발표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만성 치주염(잇몸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편두통에 걸릴 확률이 약 10% 높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한 전국 규모의 대규모 연구입니다. 40세 이상 한국 성인 216,79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중 편두통 환자 43,359명과 일반인 173,436명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중첩 환자-대조군 연구(Nested Case-Control Study) 방법을 사용하여, 편두통 환자 1명당 일반인 4명을 매칭시켜 비교했습니다. 나이, 성별, 소득 수준, 거주 지역 등의 조건을 동일하게 맞춘 후 잇몸병 발생률을 비교했습니다.

 

1. 주요 연구 결과

 

1) 만성 치주염과 편두통의 연관성

 

연구 결과에 따르면

 

① 만성 치주염을 1회 이상 진단받은 사람의 편두통 발생 위험이 1.10배 높음

② 2회 이상 진단받은 사람의 편두통 발생 위험이 1.05배 높음

③ 2년 추적 관찰 결과에서도 1.10배 높은 위험도 확인

 

 

2) 편두통 유형별 차이

 

편두통은 크게 조짐이 있는 편두통조짐이 없는 편두통으로 나뉩니다:

조짐이 있는 편두통: 잇몸병과의 연관성이 1.16-1.18배로 더 높음

조짐이 없는 편두통: 연관성이 1.09-1.10배

 

 

2. 왜 잇몸병이 편두통과 연관될까?

 

1) 염증 반응의 공통점

 

만성 치주염은 잇몸에 세균이 감염되어 지속적인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때 발생하는 염증 물질들이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지게 됩니다.

 

연구진이 제시한 주요 메커니즘

 

공통 염증 매개체: 잇몸 염증에서 나오는 사이토카인(IL-1, IL-6, TNF-α) 등이 편두통을 유발하는 것과 동일한 염증 물질임

CGRP 증가: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라는 물질이 잇몸병과 편두통 모두에서 증가하여 혈관 확장과 통증을 유발

③ 신경혈관 기능 이상: 염증으로 인해 뇌혈관과 신경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이 방해받음

 

 

2) 유전적 요인

 

최근 멘델리안 무작위화 연구에서 잇몸병과 편두통이 공통된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즉, 태생적으로 두 질환에 모두 취약한 유전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3. 다른 구강 질환과의 연관성

 

잇몸병뿐만 아니라 다른 구강 질환들도 편두통과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TMD)

안면 근막 통증

치아 교합 이상

 

이는 구강-전신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으로, 입 안의 문제가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4. 임상적 의의와 시사점

 

1) 통합적 치료 접근

 

이번 연구 결과는 편두통 치료에 있어 구강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편두통 환자들은

 

정기적인 치과 검진 필요

적극적인 잇몸병 치료와 관리

구강 위생 관리 철저히 시행

 

2) 예방 차원에서의 접근

 

만성 치주염을 미리 예방하고 치료함으로써 편두통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됩니다. 이는 예방 의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발견입니다.

 

5. 연구의 한계점

 

이번 대규모 한국인 대상 연구는 만성 치주염과 편두통 사이의 명확한 연관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비록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아니지만, 공통된 염증 기전과 유전적 소인을 통해 두 질환이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국민건강보험 청구 데이터 기반으로 정확한 임상 지표가 부족한 것과치주낭 깊이나 부착 상실 등의 정밀한 치주 상태 측정 불가인 상태에서 연구한 점은 인과관계보다는 연관성 확인에 그쳤다는 것이 한계점이었습니다.

 

편두통으로 고생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자신의 구강 건강 상태를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작은 실천이 큰 건강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Song, J.H., et al. (2025). "Association of Chronic Periodontitis with Migraine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A Nationwide Nested Case-Control Study." Healthcare, 13(17), 21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