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제 똑똑하게 고르는 법! SPF와 PA 완벽 해석 가이드
여름뿐 아니라 사계절 내내 사용해야하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장에서 SPF30, SPF50, PA++, PA+++ 등의 숫자와 기호들을 보면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오늘은 자외선 차단제 선택 기준과 올바른 사용 방법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자외선의 종류와 피부에 미치는 영향
자외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자외선A(UVA)와 자외선B(UVB)입니다.
- 자외선B(UVB)는 피부 표면에 화상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빨갛게 달아오르는 홍반이나 물집을 만듭니다.
- 자외선A(UVA)는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콜라겐을 파괴하고 주름, 기미, 검버섯 등 피부 노화를 촉진합니다.
1. SPF / PA, 자외선 종류와의 연관성
1) SPF : 자외선B 차단 지수
SPF(Sun Protection Factor)는 선크림을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했을 때, 제품이 UVB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차단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자외선B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정도를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SPF15는 자외선B의 약 93%를, SPF30은 약 97%를, SPF50은 약 98%를 차단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강한 보호 효과를 제공하지만, 무조건 높은 수치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2) PA : 자외선A 차단 등급
PA는 자외선A 차단 능력을 나타내는 등급으로, +의 개수로 표시됩니다.
PA+는 UVA 약한 차단(2~4ppd), PA++는 UVA 보통 차단(4~8ppd), PA+++는 UVA 높은 차단(8~16ppd), PA++++는 UVA 매우 높은 차단(16ppd 이상)을 의미합니다.
2. 활동별 자외선 차단제 선택 가이드
1) 실내 활동이 많은 경우
집안 등의 실내에서는 SPF10, PA+를 선택하면 충분합니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자외선으로부터 기본적인 보호가 가능합니다.
2) 장시간 야외 활동
야외활동이 많은 경우는 SPF 30, PA++를 선택하고 등산, 스포츠 활동 등에 적합합니다.
3) 해변, 스키장 등 강한 자외선 노출 환경
해변·스키장 등에서는 SPF 50내외, PA+++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자외선 차단제 올바른 사용법
1) 적당한 양과 바르는 방법
500원짜리 동전 크기 (2mg/cm2)의 양을 얼굴 전체, 귀, 목, 손, 팔 등 햇빛 노출부위에 균일하게 꼼꼼히 발라야 제품에 표시된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너무 적게 바르면 원하는 보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2) 바르는 시간
외출할 경우 적어도 30분 전에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어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3) 덧바르기의 중요성
차단 지수와 무관하게 시간이 지나면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 피지와 외부 환경에 의해 밀려나고 벗겨지기 때문에 2~3시간마다 덧발라 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땀을 많이 흘리거나 물에 닿았을 때는 즉시 다시 발라주어야 합니다.
4) 놓치기 쉬운 부위들
귀, 목 뒤, 발등, 입술 등은 자외선에 노출되기 쉽지만 자외선 차단제를 빼먹기 쉬운 부위입니다. 이런 부위까지 꼼꼼히 발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자외선 차단제 선택 시 주의사항
1) 높은 SPF의 함정
SPF 수치가 무조건 높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자외선 차단제에 포함된 성분이 많아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피부 타입과 활동 환경에 맞는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제형별 특징 고려
크림 타입은 보습력이 높아 건성 피부에 적합하고, 로션 타입은 발림성이 좋아 넓은 부위에 바르기 편합니다. 스프레이 타입은 간편하지만 균일한 도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계절별 자외선 차단 전략
봄과 가을에는 SPF20-30, PA++ 정도면 충분하지만, 여름철에는 SPF30 이상, PA+++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도 눈에 반사되는 자외선이 강하므로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단순히 여름철에만 필요한 제품이 아닙니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절과 활동량에 관계없이 꾸준히 사용해야 하는 필수 아이템입니다. 올바른 선택과 사용법으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오랫동안 젊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 LG생활건강 고객센터, "자외선 차단제 A와 B, SPF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2024
- 식품의약품안전처, "슬기로운 자외선차단제 사용방법", 2024
- 질병관리청 건강정보, "자외선 예방 및 대처", 2024
- 폴라초이스 뷰티 어드바이스, "자외선 차단지수 SPF, PA", 2025
-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자외선 차단제 이해", 2024
'뷰티 학술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과 자외선이 모발에 미치는 숨겨진 진실, 케라틴 손상 부위 연구 결과 (3) | 2025.09.15 |
---|---|
미백·잡티 개선을 위한 화장품 성분 비교!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 아르부틴 (0) | 2025.09.14 |
한방·천연 성분 화장품의 진실! 효과는 좋지만 '천연=안전'은 오해일 수 있다 (3) | 2025.09.13 |
얼굴보다 먼저 늙는 목과 데콜테, 마이크로니들링으로 되돌리기 (1) | 2025.09.12 |
콜라겐이 화장품에서 중요한 이유? 피부 탄력과 건강 (0) | 2025.09.10 |